현황 |
많은 부분에서 준비가 끝나가고 있습니다. 서비스 자체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디자인적으로 부족하고 예상치 못한 잔버그도 존재합니다. 사진마다 가로 세로의 비율이 다르니 그에 따른 템플릿을 따로 생성하려 합니다.
ex)
그런데 사진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가로가 더 긴데도 이러한 템플릿을 가집니다.
이미지의 가로와 세로가 더 긴 차이를 클라이언트 쪽 코드에서 판단을 하고 해당되는 요소를 만들게 구현하였습니다.
이러한 현상이 새로고침을 해서 새로 사진을 얻어올때마다 결과가 달라집니다.
이 부분에서 아직 버그가 잡히지 않습니다.
그리고 또 다른 문제로는 현재 aws 프리티어 모델들을 통해서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질 좋은 사진을 다루자는 목표에 사진의 질을 지키려하니 사진 한 장에 10MB가 가까이 됩니다. 압축을 하여도 MB 단위에서 줄어들지가 않습니다.
사진 자체의 해상도를 4K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어서가 큽니다.
이 부분도 현실적인 부분과 타협을 해야할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. 이용중인 사용자가 없어서 문제가 안 생겼지
사용자분들이 늘면 이러한 큰 용량의 사진들이 전부 서버의 부담, aws 프리티어의 이른 고갈로 넘어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
어떻게 하면 적절한 방안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겠습니다.
생각할 부분 |
당장의 서비스 운영에 대해선 위의 고민들을 해결하면 그만입니다. 하지만 배포를 손쉽게 하는 것에는 좀 더 공부가 필요해 보입니다. 그리고 github의 commit에 관해서도 뭔갈 정해야할 것 같습니다. 단일의 추가된 코드만 commit 하며 commit message도 통일성 있게 하는 등. 그리고 전체적인 코드의 퀄리티를 올리려 합니다. 이 부분은 다른 분들이 프로젝트 코드를 보며 많이 배우고 저의 코드에 적용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.
앞으로 일정 |
위의 사안들을 해결하겠습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부족한 점이 있다면 부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'프로젝트 - Kupica > 개발 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pica v1.0.3] ERD (수정) (0) | 2023.07.11 |
---|---|
[kupica v1.0.3] AWS 아키텍처 (0) | 2023.07.10 |
[kupica] 23.05.22 일자 현황 (0) | 2023.05.22 |
보안에 민감한 문서 (application.yml) 윈도우환경에서 리눅스(ubuntu) 서버로 전송하기 (pscp 사용) (0) | 2023.05.19 |
[Project Kupica] 기능 정리, 데이터베이스 설계. ERD (0) | 2022.09.29 |
댓글